분류 전체보기
-
Network-EthernetNetwork 2019. 12. 21. 15:07
이더넷은 IEEE 802.3프로토콜로써 그 특징은 1.확장성 2.L2프로토콜 3.이더넷 주소 =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를 의미한다. 이더넷의 문제점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가 통신미디어를 공유하기 때문에 특정 호스트가 보낸 트래픽 시그널은 공유 통신미디어를 통해 모든 호스트로 전달된다. 이러한 시그널은 '반송파'(Carrier)라고 하는데 이때 두대 이상의 호스트가 동시에 트래픽을 보내면 통신 미디어 상에서 반송파 충돌이 일어난다. 이는 곧 Multi Access환경에서의 통신 지연 및 실패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충돌을 감지(Sense)하면 충돌이 발생했는다는 충돌신호(Jamming Signal)을 보낸다. 이를 수신한 다른 모든 호스트들도 데이터 ..
-
Network-RIP(Routing Protocol)카테고리 없음 2019. 11. 7. 01:54
RIP는 v1,v2가 존재함 UDP,포트520번을 사용하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업데이트됨. 사용하는 메시지 >1.Response Message=라우팅정보를 네이버(Neighbor)에 전달 2.Request Message=네이버 라우팅 정보를 요청(Response Message와 포맷이 동일하지만 필드에 0.0.0.0, 16을 기록하여 구분함) RIP의 루핑방지 1.스플릿 호라이즌(Split Horizon) -->특정 인터페이스로 수신한 정보는 다시 해당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2.포이즌 리버스(Poison Reverse) -->스플릿 호라이즌과 달리, 특정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지만 RIP의 Valid Hop count인 15를 넘긴값을 메트틱으로 보냄. 따라서 전달된 라우터는 이를 보고 드..
-
Network-라우팅Network 2019. 11. 7. 01:28
L3헤더내의 주소는 목적지 호스트 주소(/32)지만 실제 라우터의 라우팅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네트워크주소가 저장된다. 라우터가 특정 Network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Recursive lookup,즉 반복적으로 라우팅테이블을 본다. 1.일단 한번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한다 --> 넥스트 홉을 확인하기 위해 -->방향을 결정 2.그 다음 다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한다-->넥스트 홉 라우터로 가기위해서는 어떠한 인터페이스로 나갈지 Routing Table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가장 최선의 경로정보 집합이며 1.네트워크 정보 2.넥스트 홉 정보 3.메트릭정보로 구성된다. 라우팅테이블은 다시 RIB(Routing Information Base),즉 라우팅 프로토콜의 관점에서의 라우팅 테이블과// 라우터관..
-
IPA-SERVER 설치Linux 2019. 10. 23. 20:26
FreeIAP란? FreeIPA like Microsoft’s Active Directory, is an open source project, sponsored by Red Hat, which makes it easy to manage the identity, policy, and audit for Linux-based servers. IPA stands for Identity, Policy and Authentication. FreeIPA www.freeipa.org IPA is a collection of very useful services that make IPA the Linux equivalent for Active Directory in a Microsoft environment. It in..
-
LINUX-NFS 서버 구축하기Linux 2019. 10. 12. 19:44
***NFS서버 구현순서*** 1.NFS서버에 nfs-utils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2.NFS서버의 /etc/exports에 공유할 디렉터리와 접근을 허가해줄 컴퓨터, 접근 권한을 지정한다 3.NFS서비스를 실행한다. 4.NFS클라이언트에 nfs-utils 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5.NFS클라이언트에서 "showmount"명령어를 실행해 NFS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6.NFS클라이언트에서 "mount"명령어를 실행해 NFS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마운트한다. 1.Server측 작업 1.nfs-utils패키지 설치 2./etc/exports에 /nfs폴더경로. 클라이언트IP(rw,sync)형식으로 입력(rw-->읽고 쓰기위함, 클라이언트들은 읽기만 가능하도록 하려면..
-
Linux-Telnet 서버 구축하기(외부에서 telnet허용)Linux 2019. 10. 12. 15:53
간단한 개요(텔넷을 예시로) 1.telnet 패키지 설치. 2.vi /etc/services파일에서 올리려는 서비스의 포트 번호를 확인후 포트 오픈(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3.데몬을 올린다. *****구축방법***** 1.텔넷 서버를 설치한다.(저는 미리 설치했기 때문에 nothing to do가 나옵니다) 2.포트를 오픈하기 위해 telnet의 포트번호가 무엇인지 확인한다. /etc/services파일을 통해 해당 서비스의 포트번호 확인이 가능하다. 3.systemctl start telnet.socket으로 데몬 활성화. 4.텔넷 접속을 위해 사용자를 생성 후 일단 포트를 오픈하지 않은 생태에서 본인으로 텔넷이 되는지 확인한다. 5.외부에서 텔넷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안되는 이유 -..
-
Linux-Emergency recovery(응급복구)Linux 2019. 10. 12. 15:11
리눅스 응급복구 방법(root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때) 1.부팅창에서 'e'키를 눌러 grub(?)창으로 이동 2.화면 중간에 UTF-8뒤에 "rd.break"입력후 ctrl+x로 재부팅 3.부팅후 "mount"명령어로 확인하면 sysroot권한이 ro(read-only)인것을 확인 할 수 있음 이를 rw로 바꿈 **변경후** 4.root를 변경후 "exit"입력 5."whoami"명령어로 현재 사용자가 root인것을 확인한다. 6.passwd로 비밀번호 변경. (7.SELINUX사용을 위해 autorelabel파일 생성.) 8.exit명령으로 나온뒤 재부팅후 변경된 패스워드로 로그인 성공을 확인한다.
-
리눅스 기본명령어(09_17)Linux 2019. 9. 11. 16:29
#앞으로 리눅스 공부하면서 필기내용을 블로그에 공유하려고 합니다 계속 수정해 나갈 계획입니다 리눅스/유닉스 ==> 대소문자 유의! Shutdown #shutdown -P +10 (10분후에 종료) P=Poweroff #shutdown -r 22:00 (22:00에 reboot) #shutdown -c 예약된 shutdown을 취소 #shutdown -k +15 현재 접속한 user에게 15분 후에 종료된다는 메시지를 보내지만 실제로 종료는 안됨 Reboot #shutdown -r now = reboot = init 6 Logout #logout = exit ( in Text mode) Run Level Run Level 모드 확인 --> /lib/systemd/system/runlevel?.targ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