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기본명령어(09_17)Linux 2019. 9. 11. 16:29
#앞으로 리눅스 공부하면서 필기내용을 블로그에 공유하려고 합니다 계속 수정해 나갈 계획입니다
리눅스/유닉스 ==> 대소문자 유의!
Shutdown
#shutdown -P +10 (10분후에 종료) P=Poweroff
#shutdown -r 22:00 (22:00에 reboot)
#shutdown -c 예약된 shutdown을 취소
#shutdown -k +15 현재 접속한 user에게 15분 후에 종료된다는 메시지를 보내지만 실제로 종료는 안됨
Reboot
#shutdown -r now = reboot = init 6
Logout
#logout = exit ( in Text mode)
Run Level
Run Level 모드 확인 --> /lib/systemd/system/runlevel?.target
0 / Power Off / 종료모드
1 / Rescue / 시스템복구모드 (단일 사용자 모드)
2 / Multi-User / XXX
3 / Multi-User /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4 / Multi-User / XXX
5 / Graphical / 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6 / Reboot /
VI editor
dd --> 현재 커서 행 삭제, 숫자+dd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삭제
yy --> 현재 커서가 있는 행 복사 숫자+yy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복사
p --> 복사한 내용 현재 행 이후로 붙여넣기 P --> 복사한 내용을 현재 행 이전에 붙여넣기
/문자열 --> 해당 문자열 찾기
치환
-->":%s/바꾸려는문자열/새로바꿀문자열
행번호 표시
--> ":set number"
마운트
# /dev/cdrom == /dev/sr0 (/dev/cdrom은 /dev/sr0에 링크된 파일)
# 예를들어 마운트 되는 포인트를 임의로 /media/slaxer로 지정하고 싶다면 해당 경로 생성후
"mount /dev/cdrom /media/slaxer"
# 자동으로 마운트 된 CD/DVD의 경로는 /run/media/이고 그 아래 디렉터리 이름은 현재 root사용자의 이름과 CD/DVD의 레이블이름으로 디렉터리 자동 생성됨
USB포맷
# CentOS는 기본적으로 FAT32방식의 USB만 인식가능함.
User&Group
ex1) /etc/passwd파일에서
slaxer : x : 1000 : 1000 : slaxer : /home/slaxer :/bin/bash의 의미
사용자 이름:암호:사용자 ID:사용자가 소속된 그룹ID:전체 이름: 홈 디렉터리 :기본 셸
#x -->/etc/shadow파일에 비밀번호가 저장되어있다는 뜻
ex2) /etc/group파일에서
slaxer : x : 1000 :slaxer
그룹이름:비밀번호:그룹ID:그룹에 속한 사용자 이름
/etc/shadow파일에서
유저의 비밀번호가 존재한다면 해싱된 값으로 표시가 되는데 만약 비밀번호가 없다면 '!!'으로 표시된다.
새로운 유저를 생성하면 해당 유저의 홈 디렉터리 기본 설정은 '/home/사용자이름'으로 지정되며, /etc/skel 디렉터리의 모든 내용을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복사하는 작업이 발생된다. 따라서 앞으로 생성될 사용자에게 특정 파일 등을 배포하고 싶다면 /etc/skel디렉터리에 해당 파일을 넣어두면 된다.
useradd사용 예
#useradd slaxer -->slaxer라는 이름의 유저 생성
#useradd -u 2019 slaxer --> slaxer 유저 생성하면서 UID를 2019로 생성
#useradd -g metamong slaxer --> slaxer유저 생성하면서 metamong그룹에 slaxer유저를 포함시킴
#useradd -d /metamong slaxer --> slaxer유저 생성하면서 홈 디렉터리를 /metamong으로 지정
#useradd -s /bin/csh slaxer -->slaxer 유저 생성하면서 기본 셸을 /bin/csh로 지정
파일허가권(chmod)
1.소유자 2.그룹 3.그 외 사용자로 구성
*디렉터리는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하려면 실행(x)권한이 반드시 필요함
ex)'chmod 777 sample.txt == chmod u+rwx g+rwx o+rwx'
파일소유권(chown)
'chown (새로운사용자이름)(.새로운그룹이름) 파일이름' 형식.
ex)'chown slaxer.slaxer sample.txt' -->파일의 소유자를 slaxer로, 파일의 그룹도 slaxer그룹으로 바꾸라는 의미.
링크
#하드 링크:원본파일과 동일함
ex)'ln (본 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심볼릭 링크:바로가기 개념(포인터)
ex)'ln -s (본 파일이름) (링크파일이름)
RPM
Option)
#####설치#####
U-기존에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았다면 일반적인 설치를 하고, 기존에 패키키가 설치되어 있다면 업그레이드함
v-설치과정 확인
h-설치 진행과정을 '#'기호로 확인
#####삭제#####
ex)rpm -e '패키지이름'
#####조회#####
rpm -qa '패키지이름' ( | grep으로 필터가능)
YUM
##################################yum 작동흐름#########################################
1.yum install 입력
2./etc/yum.repos.d/디렉터리의 repo파일을 열어 URL주소 확인(ensure Network Connecvity)
3.Repository로 전체 패키지 목록 파일을 요청
4.설치할 패키지와 관련된 패키지의 이름을 화면에 출력
5.Repository로부터 전체 패키지 목록 파일만 다운로드(만약 옵션으로 -y 입력시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 파일을 요청)
6.Repository로부터 설치할 패키지 파일을 다운로드해서 자동 설치
########################################################################################
repo파일 구성
1.#. --> 주석
2.name --> 저장소의 이름,별로 중요하지 않음
3.mirrorlist --> baseurl에 설정값이 생략되어 있으면 mirrorlist에 적혀 있는 URL이 사용된다. 이 URL에는 전세계에 분포된 여러개의 저장소가 연결되어있다.
4.baseurl --> URL이 적혀 있어야 한다. http,ftp,file 3가지 중 하나가 오면 된다.
5.gpgcheck --> 패키지의 GPG서명 확인 여부를 지정.기본값이 1(참)으로 지정되어 있고 0이 올시 GPG Key항목을 반드시 설정해야함.
6.enabled --> 저장소 사용 여부를 확인 역시 '1'은 사용 '0'은 사용 안함
ex)네트워크를 통한 yum 사용이 아닌 CD롬에 마운트 된 ISO이미지파일을 저장소로 yum 사용하기
yum은 실행시 /etc/yum.repo.d/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확인함.
따라서 저장소 URL을 지정하기 위해 임의로 jh.repo파일 생성하고 /dev/cdrom에 마운트 된 ISO파일을 임의로 생성한 /media/cdrom로 마운트시킴.
*jh.repo*
##########################
[JoonHee] //식별자 지정
name=CentOS DVD
baseurl=file:///media/cdrom/
gpgcheck=0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SERVER 설치 (0) 2019.10.23 LINUX-NFS 서버 구축하기 (0) 2019.10.12 Linux-Telnet 서버 구축하기(외부에서 telnet허용) (0) 2019.10.12 Linux-Emergency recovery(응급복구) (0) 2019.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