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Network-RIP(Routing Protocol)
    카테고리 없음 2019. 11. 7. 01:54

    RIP는 v1,v2가 존재함

    UDP,포트520번을 사용하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업데이트됨.

     

    사용하는 메시지

    >1.Response Message=라우팅정보를 네이버(Neighbor)에 전달

      2.Request Message=네이버 라우팅 정보를 요청(Response Message와 포맷이 동일하지만 필드에 0.0.0.0, 16을 기록하여 구분함)

     

    RIP의 루핑방지

    1.스플릿 호라이즌(Split Horizon)

    -->특정 인터페이스로 수신한 정보는 다시 해당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 하지 않는다.

     

    2.포이즌 리버스(Poison Reverse)

    -->스플릿 호라이즌과 달리, 특정 인터페이스로 업데이트하지만 RIP의 Valid Hop count인 15를 넘긴값을 메트틱으로 보냄. 따라서 전달된 라우터는 이를 보고 드랍시킴.

     

    #유니캐스트를 통해 라우팅 업데이트 하기#

    12.12.12.0/24대역과 R1의 루프백-->1.1.1.1, R2의 루프백-->2.2.2.2 를 RIP을 통해 라우팅
    디스턴스벡터 프로토콜인 RIP은 30초마다 업데이트되며 브로드캐스트로 업데이트됨
    E0/0을 패시브 인터페이스로 막고(=E0/0으로 수신은 하겠지만 업데이트는 하지 않겠다) 네이버 커맨드로 유니캐스트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오해할 수 있는 사실!-->흔히 RIPv1은 클래스단위로(클래스풀) 라우팅 업데이트가 이뤄진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틀리다.

    RIPv1도 서브넷을 광고할 수 있다.

    -->라우팅 업데이트 할 대상 네트워크 중 업데이트정보가 나가는 Outgoing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Major Network를 가지며 그 서브넷마스크가 동일하다면 서브넷 정보(서브넷 마스크 X)가 전달된다.

     

    이미지를 보자

     

    R1의 루프백-->150.1.10.0/27, 150.1.1.0/24, 100.1.1.0/24이며 e0/0네트워크는 150.1.12.0/24대역

    R1은 클래스풀한 150.1.0.0과 100.1.0.0을 광고할 것 같지만 150.1.1.0도 광고한다.(클래스풀 프로토콜이라 하더라도 서브넷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