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LINUX-NFS 서버 구축하기
    Linux 2019. 10. 12. 19:44

    ***NFS서버 구현순서***

    1.NFS서버에 nfs-utils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2.NFS서버의 /etc/exports에 공유할 디렉터리와 접근을 허가해줄 컴퓨터, 접근 권한을 지정한다

    3.NFS서비스를 실행한다.

    4.NFS클라이언트에 nfs-utils 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5.NFS클라이언트에서 "showmount"명령어를 실행해 NFS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6.NFS클라이언트에서 "mount"명령어를 실행해 NFS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마운트한다.

     

    1.Server측 작업

    1.nfs-utils패키지 설치

    yum -y install nfs-utils

    2./etc/exports에 

    /nfs폴더경로.        클라이언트IP(rw,sync)형식으로 입력(rw-->읽고 쓰기위함, 클라이언트들은 읽기만 가능하도록 하려면 ro(read-only)

    /etc/exports파일 마스크가 172.16.23.0대역 클라이언트들과 공유하기 위해 끝에 호스트 주소를 *로 기입

    3.서버측에 /share폴더 생성하고 허가권을 707로 수정하고 확인을 위해 특정 파일 생성

    707

    4.nfs-server서비스를 실행하고 exportfs -v로 nfs서비스 가동상태 확인

    exportfs -v로 nfs서비스 동작 확인//이때 root_squash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nfs서버의 root권한 획득을 방지하기 위함

     

    5.클라이언트측에서 확인

    해당 에러시 systemctl stop firewalld로 잠시 방화벽을 끄면 된다

    6-1.클라이언트에서 nfs폴더를 마운트 시킬 위치를 지정한다.(클라이언트 측 nfs마운트 폴더path -->/joonhee)

    6.2.sudo mount -t nfs 서버측IP:/서버측nfs폴더경로 /클라이언트측 마운트 경로 실행

    df -h명령어로 클라이언트에서 nfs마운트 확인

     

    ----------------------------------------------------------------------------------------------------------------------------

     

     

    **클라이언트 재부팅시에도 nfs서버 디렉터리 유지하기**

     

    1./etc/fstab파일에 서버측IP:/nfs마운트 경로.         /클라이언트측 마운터 경로            nfs            defaults         0 0입력

    2.이후 재부팅 후 마운트 확인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A-SERVER 설치  (0) 2019.10.23
    Linux-Telnet 서버 구축하기(외부에서 telnet허용)  (0) 2019.10.12
    Linux-Emergency recovery(응급복구)  (0) 2019.10.12
    리눅스 기본명령어(09_17)  (0) 2019.09.1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