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twork-라우팅Network 2019. 11. 7. 01:28
L3헤더내의 주소는 목적지 호스트 주소(/32)지만 실제 라우터의 라우팅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네트워크주소가 저장된다.
라우터가 특정 Network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Recursive lookup,즉 반복적으로 라우팅테이블을 본다.
1.일단 한번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한다 --> 넥스트 홉을 확인하기 위해 -->방향을 결정
2.그 다음 다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한다-->넥스트 홉 라우터로 가기위해서는 어떠한 인터페이스로 나갈지
Routing Table
>목적지 네트워크에 대한 가장 최선의 경로정보 집합이며 1.네트워크 정보 2.넥스트 홉 정보 3.메트릭정보로 구성된다.
라우팅테이블은 다시 RIB(Routing Information Base),즉 라우팅 프로토콜의 관점에서의 라우팅 테이블과// 라우터관점에서의 라우팅 테이블로 나뉜다. 이때 RIB는 가용하는 라우팅프로토콜마다 일대일로 매핑된다.(Ex:라우팅 프로토콜 2개 --> RIB테이블 2개)
따라서, 10.1.0.0/16네트워크가 라우팅프로토콜을 통해 로컬라우팅테이블에 최종적으로 올라가게 되는 과정(가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2개이상이라는 가정)은 1.RIP의 RIB의 테이블에 10.1.0.0/16이 올라온다 2.OSPF의 RIP테이블에 10.1.0.0/16이 올라온다.
3.각 RIP테이블에 등록된 경로는 각 라우팅프로토콜에서 선택된 최적의 경로이지만 실제 라우팅테이블에는 하나의 경로만 등록되므로, 선택을 해야함 --> 이때 사용되는 것이 AD(Administrative Distance)이다. AD값의 우선도에 따라서 최종 경로가 등록됨 (RIP-->120 OSPF-->110, 따라서 OSPF의 경로가 선택됨)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Ethernet (0) 2019.12.21